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환경보호
- 스크러버
- 대기배출시설
- IoT
- 환경규제
- 배출 관리
- 방지시설
- 한국환경공단
- 데이터 분석
- 대기오염
- 흡착탑
- 그린링크
- pm2.5
- air korea
- IOT설치
- 대기환경보전법
- 대기질
- 운영 효율성
- 소규모사업장
- 환경 규제
- 사물인터넷
- 비용 절감
- 소규모 배출 시설
- 환경관리
- 총량관리
- 초미세먼지
- 실시간 모니터링
- 대기질관리
- greenlink
- 미세먼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3)
엔키이앤씨 1551-6855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특히 배출 시설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IoT 측정기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모든 시설이 IoT 측정기기를 설치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몇 가지 예외 조건이 존재하며, 이 경우에 해당되는 사업장들은 설치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IoT 측정기기 설치 면제가 적용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IoT 측정기기 부착면제란?먼저, IoT 측정기기 부착면제란 사물인터넷 측정 장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배출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설치를 면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환경 규제 ..

안녕하세요, 환경 관련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엔키이앤씨(주)입니다. 오늘은 소규모 4종 및 5종 대기배출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장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물인터넷(IoT) 측정기기 설치 기한과 그에 따른 절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5종 소규모 사업장은 2024년 9월 30일이 IoT 기기 설치의 유예기간 마지막 날이라는 사실을 잘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대기배출시설을 운영하는 4종,5종 소규모 사업장은 2022년 5월 3일 이후부터 사물인터넷 측정기기 설치 의무가 발생했는데요, 아직 설치를 완료하지 못한 사업장이 있다면 남은 기간 동안 반드시 설치를 마무리해야 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환경 규제에 따라 벌금이나 페널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정부..

설치업체 권한 및 관리 프로세스 개요설치업체 권한 및 관리 프로세스는 환경공단, 설치업체(GW 제조사 및 협력사), 그리고 사업장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의 협력 체계가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관리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각 프로세스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며, 환경공단의 역할, 그린링크 사물인터넷 IOT 설치업체의 등록 및 관리, 그리고 사업장의 업무 요청과 지원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제공된 시각 자료를 기반으로 설치업체 권한 및 관리 프로세스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중요성과 구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겠습니다.설치업체 관리 체계설치업체 관리 체계는 환경공단, 설치업체, 그리고 사업장 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구축됩니다. 이 체계는 설치업체 등록, 회원가입, 장비 등록, ..